
노드에 대하여.. Document Object Model(문서객체모델)은 HTML페이지에서 문서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를 조작 및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인 HTML태그이며, DOM에서는 이것을 노드라고 한다.노드에는 다음 4개가 있다. document - 최상위(root) 노드. - 최상위 이기 때문에 아래 3가지 요소,속성,텍스트 노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document노드를 통하여야 한다. div, ul, li - 요소 노드. - 부모 노드와 자식노드를 가질 수 있다. first, second - 애트리뷰트(속성) 노드.- 부모노드를 가질 수 없다.- 이 노드에 접근하려면 해당 노드의 요소노드에 접근 필요 javascript, React.js, Vue.js..
GROUP BY 절에서 사용하며 소계 및 총계 결과를 보여주는 함수 -사용방법 ROLLUP(A) ROLLUP(A,B,....) [CLOTHES_ORDER (주문 테이블)]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ROLLUP(A) 일 경우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위와 같이 ROLLUP(A)처럼 매개변수가 하나라면 A컬럼의 값이 그룹핑 된 결과가 주르륵 나오고 마지막에 총계가 나온다. - ROLLUP(A, B) 일 경우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ROLLUP(A, B, C) 일 경우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ROLLUP( (A, B) ) 일 경우 (함수 안에 괄호)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ROLLUP( (A, B, C) ) 3개의 인자가 ..
ROLLUP 이 한방향으로 그룹화를 했다면CUBE 는 양방향 그룹화를 해서 소계 총계를 낸다. ROLLUP(A,B,C) 이A,B,CA,BA총계순으로 데이터 그룹화를 해서 소계 및 총계를 보여준다면... CUBE(A,B,C) 는A,B,CA,BA,CAB,CBC총계와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전 양쪽 방향으로 그룹해서 소계총계를 보여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 CUBE(A) /* * CUBE의 인자가 하나일 때는 ROLLUP이 인자가 하나일 때와 같은 결과가 나온다. */SELECT TO_CHAR(CO_DATE, 'mm/dd'),count(*) FROM CLOTHES_ORDERGROUP BY CUBE(CO_DATE)TO_CHAR(CO_DATE,'MM/DD')COUNT(*) 1002/27402/2830..
+메이븐 설정1234567891011121314151617 org.springframework spring-websocket ${org.springframework-version} org.springframework spring-messaging ${org.springframework-version} com.fasterxml.jackson.core jackson-databind 2.2.3Colored by Color Scriptercs +웹소켓 요청에 대한 핸들러 작성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323334353637383940414243@Componentpublic class ContentHandler extends TextWebSock..
@MVC는 애노테이션 기반의 컨트롤러 기술이다.@MVC 이전의 컨트롤러는 타입을 비교해서 컨트롤러를 선택하고, 그 타입의 구현된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을 사용했다면, @MVC는 @RequestMapping을 이용해서 컨트롤러 클래스나 메서드를 선택하여 호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DefaultAnnotationHandlerMapping을 사용해야 했지만 스프링 3.2부터 deprecated되었고, RequestMappingHandlerMapping가 대신한다. RequestMappingHandlerMapping는 기본적으로 등록되는 빈이라 등록해줄 필요가 없지만 만약 다른 핸들러 매핑 빈을 사용하고 있다면 수동으로 서블릿 컨테이너에 이 빈을 등록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 @Re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