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지정된 단축 명령 확인#aliascs alias 등록 방법명령행에서 바로 등록(재 접속시 더이상 사용할 수 없다.)#alias remove='rm -rf'cs 현재 사용자만 사용하도록 등록vi ~/.bash_profile #파일이 열리면..아래 명령을 적절한 위치에 등록 alias remove='rm -rf' #저장하고 나와서 source ~/.bashrccs로그아웃 후 재접속을 해야 등록한 alias사용가능 모든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등록위의 ~/.bash_profile파일 대신에 /etc/profile파일에 명령어 등록역시 재접속을 해야 사용가능
기본적으로 로그파일은 var/log 라는 디렉토리 하위에 존재한다. /var/log/maillog메일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하며, 이 파일을 이용하여 어떤 메일들이 오고 가는지 확인할 수 있다.메일이 오고 간 시간, 호스트, 데몬 유저, 메일 크기 등. /var/log/messages메일, 뉴스 등을 제외한 전체적인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 /var/log/secure유저의 접속 기록을 표시 /var/log/lastlog각각의 계정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이다.lastlog명령어로 확인 할 수 있다. /var/log/boot.log부팅시 서비스 데몬들의 실행 상태 기록 /var/log/dmesg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는 메세지가 기록되어 있다. /var/log/croncron과 관..
시스템 종료와 재부팅 - shutdwon 명령어shutdown [옵션] [시간] [메세지] shutdwon -h 1010분후에 시스템을 종료shutdwon -r now바로 시스템 재부팅shutdown -c시스템종료 예약 취소 명령 - init 명령어리눅스 시스템이 가동되는 방법에는 0~6까지 7개가 있다. 이를 런레벨(Run Level)이라고 한다.0 - 종료모드1 - 단일 사용자 모드(시스템 복구시 사용)2 - 다중 사용자 텍스트 모드(NFS 사용불가)3 - 다중 사용자 텍스트 모드4 - 사용안함5 - 다중 사용자 그래픽 모드6 - 재부팅 모드 init 0 시스템을 종료한다.init 6 시스템을 재부팅 한다.init 3 다중사용자 텍스트 모드로 전환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init모드를 설정하거나 확..
jsp 개발환경 구축 ○ java 설치 및 설정 - java se jdk 다운로드(본인은 1.8 버전받음)http://www.oracle.com/technetwork/java/javase/downloads - FTP를 열어서 다운받은 jdk파일 올린다. - java jdk1.8.~ 압축파일 해제 (tar -xvf 파일명) - mv 명령어로 압축을 해제한 jdk1.8.~디렉토리를 /usr/local/ 경로로 이동시킨다. - jdk 경로설정을 쉽게 알아보기 위해 jdk1.8.~디렉토리의 심볼릭링크를 java이름으로 변경> ln -s /usr/local/jdk.1.8~ java - 콘솔에서 자바를 컴파일, 실행하기 위해 환경변수를 설정한다.1. 수정을 위해 profile파일을 연다(vi 모드)> vi /etc..
본인의 OS : centos 6.X 설치 ### 필수 패키지 설치 ### # yum install gcc gcc-c++ make automake unzip zip xz kernel-devel-`uname -r` iptables-devel ### perl-Text-CSV_XS 설치 (2가지) ### 1) 직접 rpm으로 설치하는 방법 http://pkgs.repoforge.org/perl-Text-CSV_XS/ 에서 최신 버전을 확인하고 설치해준다. # rpm -Uvh http://pkgs.repoforge.org/perl-Text-CSV_XS/perl-Text-CSV_XS-0.80-1.el6.rf.x86_64.rpm 2) rpmforge repo 를 추가하여 yum으로 설치하는 방법 # rpm -i ht..
DNS 서버의 잘못된 설정을 이용한 분산 반사 서비스 거부 공격 (DRDoS 공격)의 형태인증 절차가 존재 하지 않는 DNS 서버의 경우 Reflector로 사용되어 공격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방법(vi /etc/named.conf) recursion no;additional-from-auth no; additional-from-cache no;Then restart named so that it will use the new secure options:/etc/init.d/named restart
몇일전에 디도스 공격을 당해서 클라우드 호스팅중인 업체에서 하룻동안 서버를 정지시켰다. 공부겸 사이트를 만드는 것이라 누가 접속할 것이라고는 생각도 못했다. 그래서 톰캣에 로그를 남기고 비정상적으로 많은 접속을 하는 아이피를 차단하기 위해 톰캣차원에서 로그를 남기기로 했다. centos 기준...톰캣에 로그기록을 남기기 위한 설정은 다음과 같다./etc/tomcat6/server.xml 파일 내용 중 아래 부분(Valve엘리먼트)의 주석을 제거한 후 Tomcat을 재시작하면 된다. (초기에는 주석처리가 되어있다.) 아래와 같이 수정했다.(아래의 엘리먼트가 위치할 곳은 Engine엘리먼트 내부이다.) 참조: http://tomcat.apache.org/tomcat-5.5-doc/config/valve.ht..
먼저 yum 패키키 설치 명령어로 svn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 -y install subversion 저장소로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저는 root경로에 web디렉토리를 저장소로 하겠습니다.) # mkdir /svn# cd /svn# svnadmin create 만들저장소명저장소를 위치시킬 디렉토리를 하나 만들고, 만든 디렉토리로 이동 후 svnadmin 명령으로 저장소를 만듭니다. 이제 /svn/저장소명 경로에 svn에 설정 폴더들이 생기게 됩니다.그중에서 conf디렉토리에 있는 svnserve.conf 파일을 vi로 열어서 다음항목의 주석을 해제합니다,anon-access=readauth-access=writepassword-db=passwd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각 항목의 앞부분에 ..
tomcat을 yum 패키지를 이용해서 설치 하였으며. tomcat의 기본 위치는 /usr/share/ 경로에 있다. 아래는 tomcat의 server.xml 파일의 내용 server.xml을 살펴보면 host엘리먼트에 appBase속성이 tomcat의 진입점을 나타낸다 설정을 안했을 때는 기본경로로 webapps 를 잡고있다. 기본적으로는 위처럼 명시 되어있으며, 실제경로는 catalina_home변수/webapps/ROOT를 가리킨다. 이제 톰캣의 기본 진입 경로인 root경로를 바꾸기 위해서는 host엘리먼트의 속성인 appBase의 경로를 변경하고 이를 적용시키기 위해서 Context엘리먼트를 host엘리먼트 내에 위치시킨다. 변경된 server.xml이 위에 보이는것이다. Context엘리먼트의..
호스트OS인 윈도우에서 NAT환경의 게스트OS인 리눅스에 접속하는 방법 우선 NAT환경으로 리눅스에 셋팅되어 네트워크 연결이 가능하다는 가정하에 정리한다. Edit - Virtual Network Editor - Nat Settings.. 에서 Port Forwarding에 추가를 해야한다.타입은 TCP로 호스트 포트는 윈도우에서 접속할 포트를 적어준다. 1024이상을 적는다. 나는 9999포트를 넣었다. 아이피는 해당 게스트OS 리눅스의 ifconfig의 ip를 적는다. 버츄얼 머신 포트는 게스트OS로 접속될때 포워딩 될 포트를 적는다. SSH의 포트인 22를 넣었다. 이제 호스트OS인 윈도우의 방화벽 포트를 열어줘야 된다. NAT Settings..에서 설정한 포트인 9999를 열어준다.제어판 - 방..
책을 따라가며 3일동안 고생하며 MySQL을 설치하고 윈도우환경 MySQL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의 MySQL서버에 접속하기를 해보았습니다. 책에 의존하다 보니 다 되는 것은 아니라서 여기저기 검색을 활용하기도 했습니다. 1. 먼저 리눅스에서 MySQL을 다운받아서 설치해야 합니다. http://www.mysql.com 두가지를 다운 받습니다.(mysql community server) MySQL-serverXXXXX.glibcXX.i386.rpm MySQL-clientXXXXX.glibcXX.i386.rpm 터미널에 접속해서 ]# yum -y install perl-DBI 명령어를 쳐줍니다.(mysql관련 패키지라고 적혀있음) 관련 패키지 설치가 끝났으면 다운받은 MySQL을 설치해줍니다. 강제로... ]..
openSSH를 사용하면 원격으로 리눅스터미널에 접근하여 리눅스를 관리 할 수있다. 리눅스를 관리할 수 있는 것으로 텔넷도 있지만 텔넷은 로그인시 계정정보가 암호화가 되지 않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이 있다고 한다. openSSH를 사용하면 로그인시 계정정보가 암호화된다고 한다. 그러니 openSSH사용 -_- 시범환경은 vmware에 레드헷리눅스다. 리눅스 상에서 openSSH가 서비스되고 있는지 확인해본다 터미널을 열고 (root 사용자로 접근해야한다.) rpm -qa openssh-server (openSSH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service sshd status (현재 openSSH가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 현재 실행되고 있지 않다면 service sshd start 입력 - 레드헷은 기본적으로..
리눅스의 명령어 정리 * pwd :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디렉토리 확인 * cd : 디렉토리 이동예)cd folders : folders 디렉토리로 이동cd ~ :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cd ..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 복사예)cp new.txt new2.txt : new.txt 파일을 new2.txt에 복사 파일이 없어도 생성됨.cp -r folders1 folders2 : 디렉토리 복사 * mv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예)mv folder1 folder2 folder3 : folder1과 folder2디렉토리를 folder3디렉토리로 이동시킨다.mv new.txt new1.txt : new1.txt파일의 이름을 new2.txt파일이름으로 변경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