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식문자 내용 문자 관련 %c char형 표현 %s char[]형 표현 정수 관련 %hd short형 표현 %d int형 표현 %ld long형 표현 %lld long long형 데이터 표현 %u 부호없는 10진 정수 표현 %o 해당 데이터 값을 8진 정수로 표현 %x 해당 데이터의 값을 16진 정수로 표현 실수 관련 %f float형의 경우 입력(scanf)할 때화 출력(printf)할 때 모두 쓰이지만, double형의 경우 출력시에만 사용 %lf double형 및 long double 형의 입력(scanf)를 담당함 포인터 관련 %p 주소값의 출력(scanf)에 사용
리눅스의 명령어 정리 * pwd :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디렉토리 확인 * cd : 디렉토리 이동예)cd folders : folders 디렉토리로 이동cd ~ : 루트 디렉토리로 이동cd .. : 이전 디렉토리로 이동 * cp : 파일이나 디렉토리 복사예)cp new.txt new2.txt : new.txt 파일을 new2.txt에 복사 파일이 없어도 생성됨.cp -r folders1 folders2 : 디렉토리 복사 * mv :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하거나 이동예)mv folder1 folder2 folder3 : folder1과 folder2디렉토리를 folder3디렉토리로 이동시킨다.mv new.txt new1.txt : new1.txt파일의 이름을 new2.txt파일이름으로 변경한다. ..
contentType이란 프로퍼티를 명시하여야 한다.
열거형이란 의미상 관련이 있는 상수값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어떤 클래스에 상수로 정의된 변수가 있다고 했을 때, 그 상수의 변경으로 인해서 상수를 참조하는 다른 특정 클래스들도 모두 컴파일을 해야 적용이 되었는데, 상수 대신 열거형을 사용하면 컴파일 하지 않아도 된다. 열거형을 정의 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enum 열거형이름 { 열거형상수명1, 열거형상수명2, ....... } enum Military { ARMY, NAVY, AIRFORCE } 열거형의 상수에 접근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마치 클래스의 static멤버의 접근방법과 같은 방법을 취한다.열거형이름.상수명Military.ARMY 모든 열거형은 java.lang.Enum클래스를 조상으로 한다.이 Enum클래스에는 몇가지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다...
HashSet은 - Set인터페이스가 구현하고 있는 대표적인 클래스 - 데이터의 저장순서를 유지하지 않고, 데이터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Colored By Color Scripter™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HashSetEx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HashSet set = new HashSet(); Object[] obj = {"1",new Integer(1),5,8,2,4,10,2,"4","6","8","10"}; for(int i =0; i
